본문 바로가기
달타냥의 금융 정보

양적완화, 양적긴축 뜻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

by dalgrimja 2025. 4. 17.

오늘은 미국 중앙 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양적 긴축 속도를 늦춘다는 뉴스를 토대로 양적완화와 양적긴축의 뜻과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

양적완화, 양적긴축 뜻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준은 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웠던 이른바 양적긴축(QT) 확대 계획도 발표했다. 시중에 돈을 거둬들이는 목적으로 연준이 사들인 국채를 내다 파는 것이 양적긴축이다. 경기부양을 위해 연준이 시중에서 국채를 사들이는 방식으로 돈을 푸는 양적완화(QE)와 반대다. 
연준은 이미 보유 국채 규모를 축소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팔린 돈을 회수하고 있다. 이번에 보유 규모를 더 줄이기로 했다. 연준이 국채 보유를 줄이면서 일부 물량을 내다 팔면 시중에는 국체 공급이 늘고 시중 자금은 줄어든다.  연준은 보유 물량을 5분의 1로 줄여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대폭 낮추기로 했다.

파이낸셜 뉴스 제공

✅ 양적완화(QE)와 양적긴축(QT) 정리

1.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

● 뜻

기준금리가 0% 가까이 낮아져 더 이상 내릴 수 없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나 MBS 같은 자산을 매입하여 시중에 직접 유동성을 공급하는 비전통적 통화정책입니다. 
중앙 은행이 채권 구매에 지불한 돈이 정부, 은행을 통해 시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원리입니다.

● 도입배경

 경기가 불황일 때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정부가 재정을 풀거나 중앙은행이 금리는 내리는 정책을 합니다. 그런데 2008년 이후 전통적 방식의 정책이 유효하지 않게 되자 중앙은행이 금리를 0%대로 내리고 정부가 재정부담을 안고 지출을 늘렸지만 효과가 없어서 취한 파격적인 통화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과정

  • 중앙은행이 국채, MBS 등을 매입
  • 시중 금융기관이 현금 확보
  • 유동성 증가 → 대출 증가 → 소비/투자 증가
  • 장기금리 하락 → 경기 부양

2.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

● 뜻

양적완화로 늘어난 중앙은행의 자산을 축소하고 시중 유동성을 회수하는 정책입니다. 주로 인플레이션 억제나 시장 안정화 목적입니다.

● 과정

  • 보유한 채권 만기 도래 → 재매입 없이 상환
  • 또는 보유 자산을 직접 매각
  • 시중 유동성 감소 → 대출 축소 → 경기 둔화

3.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

📌 2008 금융위기 이후 (2009~2014)

  • QE1 (2008.11~2010.6): 국채 및 MBS 1.7조 달러 매입
  • QE2 (2010.11~2011.6): 국채 6000억 달러 매입
  • QE3 (2012.9~2014.10): 매월 850억 달러 규모 자산 매입 (국채 450억 + MBS 400억)

● 경제적 영향

  • 장기금리 하락 → 주택시장 회복
  • 주식시장 상승, 소비 심리 개선
  • 달러 약세로 수출경쟁력 상승
  • 실업률 하락, 경기 회복 견인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 무제한 양적완화 시행 (2020.3~): 국채 및 MBS 무제한 매입
  • 기업, 지방정부 대상 긴급 대출 프로그램 시행 (CPFF, MLF 등)
  • 연준 자산 4.2조 달러 → 8.9조 달러 (2022 초)

● 경제적 영향

  • 경기 침체 완화
  • 주식시장 V자 반등
  • 부동산 가격 급등
  • 인플레이션 압력 본격화 (2021~)

4. QE / QT 경제적 영향 요약

정책주요 효과
양적완화 (QE)유동성 공급 → 대출 증가
장기금리 하락
주식·부동산 가격 상승
경기 부양, 실업률 감소
인플레이션 가능성 증가
양적긴축 (QT)유동성 축소 → 대출 억제
금리 상승
자산시장 하락 압력
인플레이션 억제 가능
경기 둔화 우려 증가
양적완화와 양적긴축 뜻과 영향

✅ 양적완화(QE)와 양적긴축(QT), 일반 통화정책 비교

1. 일반 통화정책 vs 양적완화(QE) / 긴축(QT)

구분일반 통화정책양적완화(QE) / 양적긴축(QT)
핵심 수단정책금리(기준금리) 조정자산 매입(QE) 또는 축소(QT)
주요 대상단기금리장기금리, 시중 유동성
사용 시기금리 조정 여력 있을 때금리 0% 근접 등 전통적 수단 한계 시
목표물가 안정, 경기 부양/억제경기부양(QE), 인플레이션 억제(QT)

2. 양적완화(QE)를 시행하는 이유

  • 기준금리가 0% 부근으로 더 이상 인하 여력이 없을 때
  • 금융시장 불안이나 신용경색 시 대응
  • 장기금리를 낮춰 대출 및 투자 촉진
  • 자산시장 활성화를 통한 소비 증가 유도

3. 양적긴축(QT)를 시행하는 이유

  • 과잉 유동성 회수로 인플레이션 억제
  • 자산 가격 과열 및 버블 방지
  • 통화정책 정상화(위기시 비상조치 해제)
  • 금융시장 안정과 통제력 회복

✅글을 마치며

양적 완화의 정의와 도입배경, 도입정책의 영향과 일반 통화 정책과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미국과 세계 경제 흐흠의 판을 이해하시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